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공유하기
문화정책
창작활동자가점검이란?

인천문화재단은 예술인 권리침해와 불공정행위를 근절하고, 성희롱·성폭력 예방 등을 통해 공정한 예술생태계를 조성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예술인 권리보장을 위한 창작활동 자가 점검표’를 제작·배포합니다.

예술창작 지원사업을 수행하는 예술단체와 예술인 여러분께서는 창작 과정의 실행에 앞서 단계별 자가 점검을 진행해 주세요.
결과에 따라 보완·점검 필요 지점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세부적인 내용은 인천예술인지원센터에서 상세히 안내받으실 수 있습니다.

창작활동 자가점검

기획 단계 본문

창작활동 자가점검표 기획 단계 (구분, 점검내용, 선택 항목으로 구성)
구분 점검내용 선택
사전 협의 참여 예술인에게 사업 정보, 각자의 역할과 업무 및 일정에 관해 충분히 설명합니다.
참여 예술인에게 섭외된(섭외 중인) 구성원의 명단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포트폴리오는 누구와 공유되는지 사전에 알리고 반환 여부를 안내합니다.
협의 단계에서 참여 예술인의 사례비(임금)를 제시하거나, 미정일 때에는 충분한 상황 설명으로 사전 동의를 구합니다.
서면 계약 계약서 작성일을 참여 예술인에게 사전에 알리며, 충분한 검토 시간을 가집니다.
장르 또는 영역에 따른 표준계약서를 기준으로 계약서를 검토·조정합니다.
계약 전 구두로 진행된 내용이 실 계약서에 제대로 반영되었으며, 계약서상 본인의 역할, 책임과 의무 관련 조항에 불합리함이 없음을 상호 확인합니다.
사례비 지급 일자와 원천세 반영 여부, 계약의 효력 발생일·종료일을 명시합니다.
저작권, 성희롱·성폭력 예방 조항, 산재 보험 여부를 명시합니다.
※ 보험에 들지 않았다면 안전사고에 대한 공식 대비책을 준비합니다.
(해당 시) 중계·송출 여부에 따라 상영 회차, 기간 등 협의 내용을 계약서에 명시합니다.
폭력 예방 대표자 또는 예술인 본인은 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성희롱·성폭력 상황에 대한 책임 의무가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참여 예술인 모두 성희롱·성폭력 예방 교육을 이수합니다.
공식적인 자리에서 위계적이지 않은 언어 사용을 지향합니다.
장르, 학력, 출신, 나이, 성별, 성정체성, 성적 지향, 장애 여부 등에 따른 역할 제한, 고정된 성역할 강요 등 모든 차별을 금하며, 참여 예술인 모두 동등한 발언권을 가집니다.
성적 농담·혐오, 비하 발언, 비속어 사용을 제한하며, 상대방이 불쾌감을 표현하면 즉시 중단합니다.
작업 목적 외 사적 만남을 강요하지 않으며, 작업 과정에서 알게 된 사적 정보를 유포하거나 가십거리로 삼지 않습니다.
만족도평가

현재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