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q.ifac.or.kr/openAPI/real/search.do
항목명(영문) | 항목명(국문) | 항목크기 | 항목구분 | 샘플데이터 | 항목설명 |
---|---|---|---|---|---|
apiKey | API 키 | 32 | 1 | API 인증키 | |
svID | 서비스 아이디 | 20 | 1 | facility | 서비스 아이디 |
resultType | 출력방식 | 4 | 1 | json | 검색결과 출력 방식(xml / json) |
srh_cate | 분야 코드 | 2 | 0 | HER001 | 문화재 코드 표 참조 |
srh_placeCode | 소재지 코드 | 2 | 0..n | g1,g3 | 문화재 소재지 지역코드 표 참조 ※ 여러지역일 경우 콤마로 나열 |
srh_title | 문화재명 | 100 | 0 | %EC%9D%B8%EC%B2%9C(인천) | 문화재명 키워드(urlencode) |
pSize | 아티클 수 | 3 | 0 | 15 | 페이지당 아티클 개수 (생략 시 기본 10) |
cPage | 페이지 번호 | 5 | 0 | 3 | 출력하고자 하는 페이지 번호 (생략 시 기본 1) |
항목구분 : 필수(1), 옵션(0), 1건 이상 복수건(1..n), 0건 또는 복수건(0..n)
항목명(영문) | 항목명(국문) | 항목크기 | 항목구분 | 샘플데이터 | 항목설명 |
---|---|---|---|---|---|
resultCode | 결과코드 | 4 | 1 | 0000 | 결과코드 표 참조 |
resultMsg | 결과메시지 | 100 | 1 | 정상 처리되었습니다. | 결과메시지 |
errorMsg | 오류메시지 | 100 | 0 | 10 | 실패인 경우 오류의 상세내용 |
totalCnt | 전체 데이터 건수 | 10 | 1 | 1 | 조회데이터의 총건수 |
item | 세부항목 | 0..n | 세부 항목 | ||
Idx | 아티클 번호 | 11 | 1 | 1 | 문화재의 고유 등록번호 |
title | 문화재명 | 200 | 1 | 강화전성 | |
link | 뷰페이지 URL | 1 | |||
region | 구군 | 20 | 1 | 강화군 | 문화재 소재지 지역 코드표 참조 |
gubun | 구분 | 20 | 1 | 시도기념물 | 문화재 분류별 코드표 참조 |
number | 지정번호 | 10 | 0 | 제20호 | 문화재 지정 번호 |
date | 지정일자 | 10 | 1 | 1995-03-02 | 문화재 지정 일자 |
qty | 수량 | 50 | 0 | 1곽(7,176.4㎡)] | |
location | 소재지 | 100 | 1 | 불은면 오두리 563 외 6필지 | |
poster | 대표사진 URL | 255 | 0 | http://iq.ifac.or.kr/upfiles/property/20100928173315.jpg | |
description | 기타정보 | text | 0 |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오두리에 있는 이 산성은 다듬은 돌을 쌓아 기초를 마련한 위에 벽돌로 쌓아 올려 만든 전축성(塼築城)이다. 성을 쌓은 시기는 확실하지 않으나 고려 고종(재위 1213∼1259) 때 처음에는 흙으로 쌓은 토성으로 강화의 외성에 속했던 것으로 알려 있다. 비가 오면 성의 흙이 흘러내리자, 조선 영조 19년(1743) 당시의 강화유수였던 김시혁이 나라에 건의하여 벽돌로 다시 쌓아 이듬해에 완성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성의 길이는 약 270m 정도이다. *내용출처 : 문화재청 |
|
pubDate | 등록일 | dateimte | 1 | 2010-09-28 05:33:15 |
항목구분 : 필수(1), 옵션(0), 1건 이상 복수건(1..n), 0건 또는 복수건(0..n)
http://iq.ifac.or.kr/openAPI/real/search.do?svID=treasure&apiKey=TRhBwsPrqFxNnuZCe1EW9VS4JzH6cU&resultType=xml&pSize=3&cPage=1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확인이 가능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 <iq> <resultCode><![CDATA[0000]]></resultCode> <resultMsg><![CDATA[정상 처리되었습니다.]]></resultMsg> <totalCnt><![CDATA[518]]></totalCnt> <item> <idx><![CDATA[237]]></idx> <title><![CDATA[강화전성(江華塼城)]]></title> <link><![CDATA[http://iq.ifac.or.kr/wellspring/heritage/view.do?key=m2102173969627&wellspringHeritageSn=237]]></link> <region><![CDATA[강화군]]></region> <gubun><![CDATA[시도기념물]]></gubun> <number><![CDATA[제20호]]></number> <date><![CDATA[1995.03.02]]></date> <qty><![CDATA[1곽(7,176.4㎡)]]></qty> <location><![CDATA[불은면 오두리 563 외 6필지]]></location> <poster><![CDATA[http://iq.ifac.or.kr/upfiles/property/20100928173315.jpg]]></poster> <description><![CDATA[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오두리에 있는 이 산성은 다듬은 돌을 쌓아 기초를 마련한 위에 벽돌로 쌓아 올려 만든 전축성(塼築城)이다. 성을 쌓은 시기는 확실하지 않으나 고려 고종(재위 1213~1259) 때 처음에는 흙으로 쌓은 토성으로 강화의 외성에 속했던 것으로 알려 있다. 비가 오면 성의 흙이 흘러내리자, 조선 영조 19년(1743) 당시의 강화유수였던 김시혁이 나라에 건의하여 벽돌로 다시 쌓아 이듬해에 완성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성의 길이는 약 270m 정도이다. *내용출처 : 문화재청]]></description> <pubDate><![CDATA[2010-09-28 05:33:15]]></pubDate> </item> <item> <idx><![CDATA[236]]></idx> <title><![CDATA[심즙신도비(沈楫神道碑)]]></title> <link><![CDATA[http://iq.ifac.or.kr/wellspring/heritage/view.do?key=m2102173969627&wellspringHeritageSn=236]]></link> <region><![CDATA[서구]]></region> <gubun><![CDATA[시도유형문화재]]></gubun> <number><![CDATA[제32호]]></number> <date><![CDATA[1995.11.14]]></date> <qty><![CDATA[1기]]></qty> <location><![CDATA[공촌동 산8]]></location> <poster><![CDATA[http://iq.ifac.or.kr/upfiles/property/20100928171930.jpg]]></poster> <description><![CDATA[신도비는 임금이나 고관의 평생업적을 기록하여 그의 무덤 남동쪽에 세워두는 비로, 이 비는 조선 인조 때의 문신인 심즙(1569∼1644) 선생의 행적을 기리고 있다. 심즙은 28세 때인 선조 30년(1597) 과거에 급제하여 형조 •공조 •예조판서를 맡아보았다. 특히 이괄의 난이 일어나 왕이 공주로 처소를 옮길 때에 왕을 모시고 따라간 공이 인정되어 공신에 오르기도 하였다. 비는 사각받침돌 위에 길쭉한 직사각형의 몸돌을 세우고 지붕돌을 올린 모습이다. 비문의 글은 송시열이 짓고, 글씨는 홍봉조가 써서 유척기가 비에 새기었다. 공의 묘는 원래 시흥에 있던 것을 이곳으로 이장하였는데, 이때 비도 함께 옮겨 보존하고 있다. *내용출처 : 문화재청]]></description> <pubDate><![CDATA[2010-09-28 05:19:30]]></pubDate> </item> <item> <idx><![CDATA[234]]></idx> <title><![CDATA[능인교당 현왕탱화(能仁敎堂 現王탱화)]]></title> <link><![CDATA[http://iq.ifac.or.kr/wellspring/heritage/view.do?key=m2102173969627&wellspringHeritageSn=234]]></link> <region><![CDATA[중구]]></region> <gubun><![CDATA[문화재자료]]></gubun> <number><![CDATA[제24호]]></number> <date><![CDATA[2009.03.02]]></date> <qty><![CDATA[1폭]]></qty> <location><![CDATA[중구]]></location> <poster><![CDATA[]]></poster> <description><![CDATA[]]></description> <pubDate><![CDATA[2010-09-24 04:08:11]]></pubDate> </item> </iq>
코드 | 분야 |
---|---|
HER001 | 국보 |
HER002 | 보물 |
HER003 | 사적 |
HER004 | 명승 |
HER005 | 천연기념물 |
HER006 | 중요무형문화재 |
HER007 | 중요민속자료 |
HER008 | 시도유형문화재 |
HER009 | 시도무형문화재 |
HER010 | 시도기념물 |
HER011 | 문화재자료 |
HER012 | 등록문화재 |
코드 | 지역 |
---|---|
g1 | 인천광역시 계양구 |
g2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g3 | 인천광역시 남동구 |
g4 | 인천광역시 동구 |
g5 | 인천광역시 부평구 |
g6 | 인천광역시 서구 |
g7 | 인천광역시 연수구 |
g8 | 인천광역시 중구 |
g9 | 인천광역시 강화군 |
g10 | 인천광역시 옹진군 |
g11 | 기타 |
코드 | 분야 |
---|---|
0000 | 정상 처리되었습니다. |
0001 | 전송데이터(호출 파라미터) 오류입니다. |
0002 | 등록되지 않은 API Key 입니다. |
0003 | 승인 대기중인 API Key 입니다. |
0004 | 사용이 일시중지중인 API Key 입니다. |
0005 | 삭제된 API Key 입니다. |
0006 | 일일 허용 쿼리수를 초과하였습니다. |
0007 | 유효 데이터가 없습니다. |
0008 | 일시중지중인 서비스입니다. |
0009 | 중지된 서비스입니다. |
0010 | 유효하지 않는 서비스입니다. |